목록전체 글 (46)
leeda-cloud

가끔 소스트리에 푸시를 하고 나서 멍청한 짓을 했다는 걸 알아차릴 때가 있다. 소스트리에서 멍청한 짓을 한 흔적을 완전히 지워버리고 싶은데 아무리 해도 흔적이 남아 당황하던 중 찾은 방법! 먼저 이런 식으로 2번의 푸시를 한 git이 존재한다. 하지만 여기서 내가 2차 테스트란 이름으로 올린 커밋에 실수가 존재한다면? 저 2차를 완전히 지워버리고 깨끗하게 다시 올리고 싶다. 그럴때 존재하는 것이 git 초기화! 먼저 되돌리고 싶은 커밋에서 우측 마우스 클릭 후 브랜치 초기화 클릭한다. 그 다음 뜨는 초기화 창에서 Hard를 클릭! 왜냐하면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삭제할 것이기 때문이다. 그럼 이제 소스트리에는 아직 흔적이 보이지만 1차 테스트 커밋으로 다시 복구된 상태이다. 여기서 문제가 무엇이냐하면 pu..

css작성 시 자주 사용하고 있는 flex! flex를 처음 접했을 때는 어리버리 했는데 지금은 여기저기 유용하게 잘 사용 중이다. 그런 의미에서 복습 겸 정리를 해보자! 일단 flex는 mdn에서 정의하기를 하나의 플렉스 아이템이 자신의 컨테이너가 차지하는 공간에 맞추기 위해 크기를 키우거나 줄이는 방법을 설정하는 속성이라고 한다. 하지만 글로는 잘 이해가지 않는 법! 실제로 예제를 통해 적용해보자. 일단 flex를 사용할 html 구조를 만들어준다. flex 관련 html 구조 예제 1 2 3 4 5 flex-container : 컨테이너 flex-item : 아이템 html을 살펴보면 아이템 5개를 컨테이너가 감싸고 있는 형식이며, 아직 스타일도 적용하지 않아 아래 이미지처럼 나열되어 보인다. 여기..

const myTween = gsap.to('.element', { duration: 2, // 애니메이션 지속 시간 (초) x: 100, // x 좌표를 100px로 변경 opacity: 0.5 // 투명도를 0.5로 변경 }); GSAP는 타임라인 기반의 애니메이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지금도 여러 곳에서 사용 중이다. 그래서 GSAP의 기초 사용법을 정리해보자! https://gsap.com/ Homepage | GSAP GSAP is an industry standard JavaScript animation library from GreenSock that lets you craft high-performance animations that work in every major browser. ..